RiskyNOTE

 

 

 

'자리 정리'(자정) 라고 불리는 소환 과정에 대한 글입니다.

 

이 게시글에서 설명하는 '지정 자리'는

모든 지역, 모든 등급(B, A, S)과 모든 종류의 마물이 해당하는 사항입니다.

단, 이 과정은 오직 [산책형 마물]을 보다 원활하게 소환하기 위해서만 쓰이게 됩니다.


0. 개요

1. 메인 개념

2. S마물 등장(예정) 지점 확정하기

3. A 마물이 없을 때

4. 주의, 참고 사항

5. 기타


0

개요

 

산책형 마물이란? (자세한 사항> 소환유형 게시글)

위와 같이, 유저와 소환작업이

스폰이 예정된 정확한 '지점'에서 이루어져야 

등장시킬 수 있는 마물 유형을 말합니다.

 

그리고 이 '등장 지점'을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

 

 

* 해당 작업의 장점 *

> 등장 지점 뿐 아니라 유저의 액션 (식사하기, 자폭하기, 전투불능되기 등)을 필요로 하는 경우

일일이 스폰 지점마다 돌아가며 시도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/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.

> 스폰 지점을 밟기만 해도 되는 조건의 경우 계속해서 맵을 돌아다니거나 움직이지 않아도 

유저의 캐릭터를 지정 지점에 세워 놓고 시간이 지나 <온타임> 즉시 소환시킬 수 있다.

 


1

메인 개념

 

 

 

 

1. 마물은 등장하는 지정 지점(등장 스폿)이 일정하게 있음.

 

 

 

2. B와 A, 그리고 S급은 이 스폿을 대부분 공유하며 동시에 같은 장소에 겹쳐서 나오지 않는다.

 

3. 마물은 자연 생성시간(B/A), 소환(S)과 관계없이 토벌 직후 바로 다음 등장 지점이 결정된다.

 

4. 토벌되었던 동일한 자리에 연속으로 생성되지 않는다.

* 일부 지역은 하단 < 4. 주의, 참고사항 > 항목 참고

 

 


 

2

S 마물 등장 (예정) 지점 확정하기

 

★ . 즉, 한 생성 주기 내에

B급 마물 / A급 마물 / 이전 타임 S급 마물이 등장했었던 지점에는

다음 소환 예정 된 S급 마물이 출현하지 않는다.

 

1. A마물이 등장한 지점을 체크. 제외한다.

 

 

 

 

2. B마물을 지속적으로 사냥하여 B마물이 출현하지 않은 단 한 자리를 찾는다.

(B마물 재스폰 5초)

 

 


 

3

A마물이 없을 때

 

A마물 토벌 후  ㅡ  A마물 재등장 이전 사이

정리를 시도하는 시각에 당장 지역에 없는 경우.

 

* A마물이 있는 시간을 노려 정리하는 것이 편할 수 있으나

신생~창천~홍련 지역 A마물의 경우 1인~소규모 파티 인원으로도 토벌이 쉬워

A급이 유지되는 상황이 어려울 수 있다.

 

:

 

1. < 공통 >  S급 마물은 전 확장팩, 도시를 제외한 전 지역 각 1 마리

 

2.  < 신생 > 지역은  A / B 마물이 각 1 마리

 

3. < 창천 ~ 효월 > 지역은 A / B 마물이 각 2 마리

 

4. A급 재등장은 최소 3시간 30분후 ~ 4시간 30분(신생) / 4시간후~ 6시간(창천~효월)

 

 

 

★ A 마물도 토벌 직후 등장(스폰) 쿨타임 동안

등장 예정 지점이 발생하므로 이 경우,

 

B마물이 들어가지 않은

 신생 [ 2 자리 (S-1마리/A-1마리) ]

창천~효월 [ 3 자리 S-1마리/A-2마리) ] 를 

몇시간 후(A등장 예측시간)에 다시 확인 하여

 

A가 발생한 자리를 체크 V

제외하여 최종 한 자리 < S마물 예정 지점 > 를 확정한다.

 

 


4

주의, 참고사항

 

 

(전체 해당) B 마물이 2 마리인 지역 / 구역 구분

 

B 마물이 한 지역에 2 마리인 창천 ~ 효월의 경우 서로 구역이 존재

( 예시 / 일메그, 울티마 툴레 )

 

일메그 - B1마물(불팡구에)구역의 체크가 끝났다면  B2마물(도모보이)의 구역으로 넘어가며 체크

 

* A마물은 지역당 2마리여도 따로 고정 구역 X

(일부 제외)

 

:

 

(일부 해당) S 마물의 등장지점은 B/A마물의 등장지점과 같거나 더 적다.

 

B 마물/ A마물만 등장하고 S급은 등장하지 않는 자리가 존재

* 반대의 경우(S는 등장하나 A/B가 등장하지 않는 스폿)는 없음

( 예시 / 커르다스 서부고지 )

 

( S 마물 좌표만 확인하면 지정자리 정리 시 B 마물을 잃어버릴 수 있다. )

 

:

 

★ (일부 해당) B마물이 같은 자리에 다시 나오는 경우?

 

( 예시 / 갈레말드, 라비린토스 )

 

위처럼 B마물 등장지점이 4자리인 지역이 있습니다.

 

마물은 보통 토벌된 자리에 결코 연속으로 등장하지 않으나,

A 마물 2마리의 현재 위치(예정 지점 포함) , S급 마물 1마리의 등장 예정 지점이

3 자리를 전부 차지하는 경우

구역을 벗어나지 못 하는 B마물이 토벌 된 자리에 연속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.

예시) 울티마 툴레 - 오스크 레이 (스폰 지점 4자리)

 

 

이때 A마물의 위치가 확인된다면 S마물의 등장 예정 지점은 바로 결정된 것입니다.

 


5

기타

 

지정지점의 < z 좌표 (높이) > 영향?

 

220911 제보 (수정) - 상한 고도 높이에서 소환성립 확인.

z 좌표 (높이)와 상관없이 소환 x,y 좌표 범위 내로 들어가면

소환이 된다고 합니다.

 

높이에 영향이 없더라도

정확한 자리를 밟아야 하는 특성 상 좌표는 잘 확인해야 합니다.

 

 

Q. 그냥 산책하면 되지 않느냐. 굳이 이렇게까지 하는 게 더 번거로운 건?

A. 네 때로는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.

일부 (주로 꼬친동행) 산책은 그냥 한 바퀴 전부 도는 게 편할 때도 있죠.

운이 좋지 않으면.. B급 마물이 2~4자리 남기고 빈자리에 도통 들어가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까요.

 

하지만 *1. 커르서부/카이저 베히모스, 일 메그/아글라오페 ㅡ 산책해야 하는 맵이 넓고

*2. 아므아랭/타르키아(자폭하기) , 리빙메모리/기상예보기 (거친눈보라 기술사용) ㅡ  '지정 지점'에서 플레이어의 특수한 행동이 필요한 경우

*3. 울티마툴레/내로 리프트 ㅡ 꼬친 동행 인원이 한번에 10명이나 필요한 경우

 

자리 개념을 이해해두면 꼭 전부 정리하여 한 자리로 확정하지 않아도,

[ S마물의 등장 예측 지점 후보를 줄여놓는 것 만으로도 소환 작업에 들이는 시간이 상당히 절약 됩니다.]

 

자리 정리 / 소환작업의 번거로움과 비교해서 자신이 편한 방법으로 이용합시다.

 

 

'Main > 심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느뉴느위] 1인 소환 가이드  (0) 2022.09.03
[센무르, 오르가나] 돌발 줄이기  (0) 2022.08.04